티스토리 뷰

반응형

DDSP: Differentiable Digital Signal Processing


  • 대부분의 audio 생성 모델은 time 또는 frequency domain 중 하나에서 sampling을 생성함
    - Signal을 표현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sound가 생성되고 인식되는 방식에 대한 knowledge를 활용하지 않음
  • Vocoder의 경우 domain knowledge를 성공적으로 반영할 수 있지만 auto-differentiable-based 방식과는 통합하기 어려움
  • Differentiable Digital Signal Processing (DDSP)
    • 기존의 signal processing 요소를 deep learning 방식과 통합
    • Neural network의 expressive power를 잃지 않으면서 강력한 inductive bias를 활용 가능
    • Interpretable module을 결합하여 pitch/loudness의 제어, extrapolation, blind dereverberation, transfer 등이 가능
  • 논문 (ICLR 2020) : Paper Link

1. Introduction

  • Neural network는 asymptotic limit에 대한 universal function approximator로 볼 수 있음
    • 하지만 nerual network는 convolution, recurrence, self-attention과 같은 structural prior에 의존적
      - 이러한 architectrue 제약은 data domain 범위 내에서의 일반화를 촉진함
      - 결과적으로 neural network는 scale에 대한 structural prior에 의존적이고 differentiable 한 function으로 제한됨
    • 실제로 대부분의 object는 periodically vibrate 하는 경향이 있고, 이를 인식하는 인간의 청력은 neural network의 동작과는 다름
      - 특히 인간의 청력은 phase-coherent oscillation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, basilar membrance의 resonant property와 auditory cortex의 tonotopic mapping을 통해 audio를 spectrotemporal response로 decompose 하는 방식으로 동작함
      - BUT, neural network는 audio 합성을 위해 위와 같은 peridoic structure를 활용하지 않음
  • Challenges of Neural Audio Synthesis
    • 아래 그림과 같이 대부분의 neural audio synthesis 모델은 time-domain에서 직접 waveform을 생성하거나 frequency-domain의 Fourier coefficient로부터 waveform을 생성함
    •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waveform을 나타내는 방식이지만, bias에서 자유롭지 못함
      - Oscillation이 아닌 aligned wave packet을 사용하기 때문
    • For example,
      1. SING, WaveGAN과 같은 stride convolution 모델은 frame이 overlap된 waveform을 생성함
        - BUT, audio는 고정된 frame hop size이 아닌 서로 다른 period를 가지는 다양한 frequency에서 oscillate 됨
        - 결과적으로 이를 위해 모델은 서로 다른 frame 간의 waveform을 align 하고 가능한 모든 phase variation을 cover 할 수 있는 filter를 학습해야 함
      2. Tacotron, GANSynth와 같은 Fourier-based 모델도 마찬가지로 STFT의 phase-alignment 문제를 겪음
        - Fourier-based frequency가 audio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을 때, spectral leakage 문제가 발생
        - 이때 single sinusoid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neighboring frequency와 phase의 sinusoid들을 결합해야 함
      3. WaveNet, WaveRNN과 같은 autoregressive 모델은 time에 따라 single sample을 생성하는 방식을 활용
        - Wave packet 생성에 대한 bias 제약을 받지 않고 arbitrary waveform을 합성할 수 있지만 oscillation에 대한 bias를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더 크고 많은 data를 필요로 함
        - 특히 학습 중에 teacher-forcing 방식을 사용하면 exposure bias가 발생하여 feedback error가 심화됨

        - 추가적으로 spectral feature, pretrained model, discriminator에 대한 loss가 서로 incompatible 하므로 비효율성이 증가함

Neural Audio Synthesis의 어려움

  • Oscillator Models
    • Waveform이나 Fourier coefficient를 예측하는 대신 oscillator를 사용하여 audio를 생성할 수 있음
      - Expert knowledge와 hand-tuned heuristic을 반영하여 interpretable 한 합성 parameter를 추출할 수 있음
    • 이때 analysis parameter는 hand-tuning이 필요하므로 합성 과정에서 neural network를 통한 gradient flow가 불가능
      - 결과적으로 backpropagation이 불가능하여 network의 학습이 어려워지고 audio expressivity가 제한됨

-> 그래서 fully differentiable 한 audio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Differentiable Digital Signal Processing (DDSP)를 제안

 

  • Differentiable Digital Signal Processing (DDSP)
    • DDSP는 audio 합성 모델에 있어 아래와 같은 interpretability와 modularity를 제공 가능:
      - 합성 과정에서의 pitch와 loudness에 대한 독립적인 제어
      - Unseen pitch에 대한 realistic extrapolation
      - Room acoustics의 separate modelling을 통한 blind dereverberation
      - 새로운 environment로 추출된 room acoustics의 transfer
      - Disparate source 간의 timbre transfer (Singing voice to Violin)
      - 비슷한 neural synthesizer 보다 더 작은 network size

< Overall of DDSP >

  • DDSP의 fully differentiable synthesizer의 구현을 통한 audio 합성 제약의 극복
  • Oscillator 사용에 inductive bias를 활용하면서 neural network의 expressive power를 유지
  • DDSP component 사용을 통해 autoregressive/adversarial loss 없이 high-fidelity audio를 합성 가능

2. DDSP Components

  • 많은 Digital Signal Processing (DSP) operation은 automatic differentiation software의 function으로써 표현될 수 있음
    • DSP의 핵심 component를 feedforward function으로 구현하여 GPU/TPU 등에서 활용가능하도록 함
    • 이를 위한 component로써 oscillator, envelope, filter (Linear-Time-Varying Finite-Impulse-Response, LTV-FIR)를 포함

- Spectral Modelling Synthesis

  • 논문에서는 DDSP 모델을 위해 Spectral Modelling Synthesis (SMS)의 differentialbe version을 구현
    • Additive synthesizer와 subtractive synthesizer를 결합하여 audio를 생성하는 방식
    • SMS는 parameteric 하면서도 expressivity가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음
      - Spectral morphing, time stretching, pitch shifting, source separation, audio codec 등에 널리 사용됨
    • 이때 SMS의 뛰어난 expressivity는 많은 parameter를 가지고 있기 때문임
      - 따라서 SMS의 모든 parameter를 수동으로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neural network를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음
    • 이를 위해 monophonic source 만을 고려하여 sinusoid를 fundamental frequency의 integer 배수로 제한하는 Harmonic plus Noise 모델을 사용

- Harmonic Oscillator / Additive Synthesizer

  • DDSP는 sinusoidal oscillator를 핵심으로 함
    • 먼저, discrete time step $n$에 걸쳐 signal $x(n)$을 output 하는 oscillator bank는:
      (Eq. 1) $x(n) = \sum_{k=1}^{K} A_{k}(n) \sin(\phi_{k}(n))$
      - $A_{k}(n)$ : $k$-th sinusoidal component의 time-varying amplitude
      - $\phi_{k}(n)$ : instantaneous phase
    • 이때 phase $\phi_{k}(n)$은 instantaneous frequency $f_{k}(n)$를 적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음:
      (Eq. 2) $\phi_{k}(n) = 2\pi \sum_{m=0}^{n}f_{k}(m)+\phi_{0,k}$
      - $\phi_{0,k}$ : randomized, fixed, learned 될 수 있는 initial phase
  • Harmonic oscillator는,
    • 모든 sinusoidal frequency를 fundamental frequency $f_{0}(n)$의 interger 배수로 표현 가능 ($f_{k}(n) = kf_{0}(n)$)
    • 따라서 harmonic oscillator의 output은 time-varying frequency $f_{0}(n)$과 harmonic amplitude $A_{k}(n)$에 의해 parameterize 됨
    • 이때, interpretability를 위해 harmonic amplitude를 factorize 하여, loudness를 제어하는 global amplitude $A(n)$과 spectral variation을 결정하는 harmonics $c(n)$으로 변환
      (Eq. 3) $A_{k}(n) = A(n)c_{k}(n)$
      - $\sum_{k=0}^{K} c_{k}(n) = 1, c_{k}(n) \geq 0$
    • 추가적으로 modified sigmoid nonlinearity를 사용하여 amplitude와 harmonic 분포의 component를 모두 양수로 제한
  • 결과적으로 additive synthesizer는,
    • Fundamental frequency의 harmonic (interger) 배수에서 sinusoids의 합으로 audio를 생성하고 이후 neural network는 time-varying parameter (fundamental frequency, amplitude, harmonic distribution)를 출력
    • 아래 그림의 linear-frequency log-magnitude spectrogram은:
      - harmonics가 처음에는 fundamental frequency의 contour를 따르고,
      - loudness를 제어하는 amplitude envelope을 거쳐,
      - spectral variation을 결정하는 harmonics 간의 normalized distribution을 따르는 것을 보여줌

Additive Synthesizer Compoent

- Envelopes

  • 앞선 oscillator formulation은 audio sampling rate에서 time-varying amplitude와 frequency가 필요하지만, nerual network는 더 느린 frame rate에서 동작 가능함
    • Instantaneous frequency upsampling의 경우, bilinear interpolation이 적절함
    • 이때 additive synthesizer의 amplitude, harmonics 분포에서 artifcat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smoothing이 필요
      1. 이를 위해 각 frame의 중앙에 overlapping Hamming window를 추가하고,
      2. Amplitude에 따라 scale 하여 smoothed amplitude envelope를 얻음

- Filter Design: Frequency Sampling Method

  • Linear filter는 DSP 기술의 기반이 됨
    • Standard convolution layer는 Linear-Time-Invariant Finite-Impulse-Response (LTI-FIR) filter와 동일함
    • DDSP는 interpretability를 보장하고 phase distorion을 방지하기 위해, frequency sampling을 사용하여 network output을 linear-phase filter의 impulse response로 변환
    • 이를 위해 모든 output frame에 대해 FIR filter의 frequency-domain transfer function을 예측하는 neural network를 설계
      1. 이때 neural network는, output의 $l$-th frame에 대해 vector $\mathbf{H}_{l}$을 출력 ($h_{1} = IDFT(\mathbf{H}_{l})$)
        - $\mathbf{H}_{l}$을 해당 FIR filter의 frequency-domain transfer function으로 볼 수 있음
        - 따라서 이에 기반하여 time-varying FIR filter를 구현
      2. Time-varying FIR filter를 input에 적용하기 위해 audio를 non-overlapping frame $x_{l}$로 나누어 impulse response $h_{l}$과 match시킴
      3. 이후 Fourier-domain에서 frame multiplication을 통해 frame-wise convolution을 수행하면:
        $\mathbf{Y}_{l} = \mathbf{H}_{l}\mathbf{X}_{l}$
        - $\mathbf{X}_{l} = DFT(x_{l})$, $\mathbf{Y}_{l} = DFT(y_{1})$
      4. 그리고 frame-wise filtered audio $y_{l} = IDFT(\mathbf{Y}_{l})$을 recover 한 다음, original input audio과 동일한 hop size, rectangular window를 사용하여 resulting frame을 overlap-add
        - Hop size는 각 conditioning frame에 대해 audio를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서 제공됨
        - i.g.) 64000 sample과 250 frame이면 256 hop size
  • 실적용에서는 neural network ouptut을 $\mathbf{H}_{l}$로 직접 사용하지 않음
    • 대신 $\mathbf{H}_{l}$을 계산하기 위해 network ouput에 window function $\mathbf{W}$를 적용
      - Window size와 shape는 filter의 time-frequency resolution trade-off를 제어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
      - 논문에서는 Hann window size를 257로 사용
      - 이때 Window를 사용하지 않으면 resolution은 적합하지 않은 rectangular window를 기본적으로 적용함
    • Window를 적용하기 전에 IR을 zero-phase (symmetric) form으로 shift 하고 filter를 적용하기 전에 casual form으로 revert

- Filtered Noise / Subtractive Synthesizer

  • Natural sound에는 harmonic, stochastic component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
    • Harmonic plus Noise 모델은 additive synthesizer의 output을 filtered noise stream과 결합하여 이를 caputre 함
    • 이때 uniform noise $\mathbf{Y}_{l} = \mathbf{H}_{l}\mathbf{N}_{l}$의 stream 위에 LTV-FIR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differentiable filtered noise synthesizer를 구현할 수 있음
      - $\mathbf{N}_{l}$ : domain $[-1,1]$ 내 uniform noise의 IDFT

- Reverb: Long Impulse Responses

  • Room reverbation (Reverb)는 realistic audio를 위한 필수적인 특성으로, 일반적으로 neural synthesis algorithm에 의해 implicitly modelling 됨
    • DDSP는 이와 대조적으로, room acoustics를 post-synthesis convolution step으로 explicitly factorizing 함으로써 interpretability를 얻음
    • Realistic room impulse response (IR)은 매우 긴 convolutional kernel size에 해당함
      - 이때 matrix multiplication을 통한 convolution은 $\mathcal{O}(n^{3})$으로 늘어나므로 큰 kernel size에는 적합하지 않음
      - 따라서 DDSP는 frequency-domain에서 convolution multiplication을 explicitly performing 하여 $\mathcal{O}(n\, \log\,n)$으로 증가하는 reverb를 구현

3. Experiments

  • Supervised DDSP autoencoder는 audio에서 추출된 fundamental frequency ($F_{0}$)와 loudness feature로 condition 됨
  • Unsupervised DDSP autoencoder는 $F_{0}$를 network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jointly learning

AutoEncoder Architecture

- DDSP AutoEncoder

  • DDSP component는 생성 모델 종류 (VAE, GAN, Flow 등) 선택에 제한이 없음
    • 다만 논문에서는 DDSP component의 strength를 확인하기 위해 deterministic autoencoder를 활용
      - 특히 convolution layer를 활용하는 autoencoder는 DDSP component를 통해 audio-domain에서 autoencoder의 성능을 향상 가능
      - 이때 GAN, VAE, Flow와 같은 stochastic latent를 반영하면 그 성능을 더 향상할 수 있음
    • Standard autoencoder는,
      - Encoder network $f_{enc}(\cdot)$은 input $x$를 latent representation $z= f_{enc}(x)$에 mapping
      - Decoder network $f_{dec}(\cdot)$은 input $\hat{x} = f_{dec}(z)$를 reconstruct
    • DDSP autoencoder는 DDSP component와 decomposed latent representation을 사용
  • Encoder
    • Supervised autoencoder의 경우
      1. Loudness $l(t)$는 audio에서 직접 추출되고, fundamental frequency를 추출하기 위해 pretrained CREPE 모델을 $f(t)$ encoder로 사용
      2. Optional encoder는 residual information의 time-varying encoding $z(t)$를 추출
      3. $z(t)$ encoder의 경우,
        - Harmonics에 대한 smoothed spectral envelope에 해당하는 MFCC coefficient를 추출한 다음,
        - Single GRU layer를 통해 frame 당 16개의 latent variable로 변환
    • Unsupervised autoencoder의 경웅
      1. Pretrained CREPE 모델은 audio의 mel-scale log spectrogram에서 $f(t)$를 추출하는 ResNet architecture로 대체
      2. 이후 network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jointly train
  • Decoder
    • Decoder network는 additive, filtered noise synthesizer를 제어하기 위해 tuple $(f(t), l(t), z(t))$를 mapping
    • Synthesizer는 해당 parameter를 기반으로 audio를 생성하고 합성된 audio와 original audio 사이의 reconstruction loss를 최소화함
      - Network architecture는 일반적인 single recurrent layer를 포함한 fully connected network를 사용
    • 추가적으로 latent $f(t)$는 additive synthesizer에 직접 제공
      - 주어진 dataset의 context의 바깥에서 synthesizer에 대한 structural meaning을 가지기 때문
      - 해당 disentangled representation을 통해 모델은 interpolation 뿐만 아니라 data 분포 바깥의 extrapolation을 가능하게 함
  • Model Size
    • DDSP는 GANSynth, WaveRNN, WaveNet Autoencoder와 비교하여 가장 적은 parameter를 가짐
    • 초기 실험에서 사용된 WaveNet Autoencoder 보다 300배 작은 DDSP 모델은 합리적인 품질과 low-latency를 보임

Model Size 비교

- Multi-scale Spectral Loss

  • AutoEncoder는 reconstruction loss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
    • Audio waveform의 경우, raw waveform에 대한 point-wise loss가 이상적이지 않음
      - 지각적으로 동일한 audio sample이라도 서로 다른 waveform을 가질 수 있고, 결과적으로 point-wise similarity가 다를 수 있기 때문
    • 따라서 multi-scale spectral loss를 채택
      1. Original audio와 합성된 audio가 주어지면, 주어진 FFT size $i$를 사용하여 각각의 magnitude spectrogram $S_{i}$, $\hat{S}_{i}$를 계산함
      2. 이때 loss는 $S_{i}$와 $\hat{S}_{i}$ 간의 $L_{1}$ distance와 $\log S_{i}$와 $\log \hat{S}_{i}$ 사이의 $L_{1}$ distance의 합:
        (Eq. 4) $L_{i} = ||S_{i}-\hat{S}_{i}||_{1} + \alpha ||\log S_{i}-\log \hat{S}_{i}||_{1}$
        - $\alpha$ : weighting term (논문에서는 1.0으로 사용)
    • Total reconstruction loss는 모든 spectral loss의 합으로써, $L_{reconstruction} = \sum_{i} L_{i}$
      - 결과적으로 $L_{i}$는 다양한 spatial-temporal resolution에 대해 orignial audio와 합성 audio 사이의 차이점을 반영

4. Results

- Settings

  • Datasets : NSynth, Solo Violin
  • Comparisons : WaveRNN

- High-Fidelity Synthesis

  • DDSP autoencoder는 Solo Violin dataset를 정확하게 재합성하는 방식을 학습할 수 있음
    • 특히 DDSP는 기존의 large autoregressive 모델이나 adversarial loss와 비교하여 비교적 간단한 $L_{1}$ spectrogram loss와 적은 양의 data 만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달성
    • DDSP 모델이 neural network의 expressive power를 잃지 않으면서 DSP component의 bias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

Solo Violin에 대한 DDSP 기반 Decomposition 결과

  • NSynth dataset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DDSP가 WaveRNN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합성 품질을 제공함
    • Unsupervised DDSP autoencoder의 경우 audio에서 직접 $F_{0}$ conditioning signal을 추론하는 방법을 학습해야 함
    • Unsupervised DDSP의 경우 Supervised DDSP 만큼의 합성 품질을 보이지는 못했지만, 여전히 WaveRNN 보다는 우수한 합성이 가능

NSynth dataset에 대한 합성 품질 비교

- Independent Control of Loudness and Pitch

  • Interpolation
    • DDSP는 interpretable structure를 통해 generative factor에 대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
      - Factorized latent variable $(f(t), l(t), z(t))$는 일치하는 perceptual axis를 따라 sample을 독립적으로 변경
    • 아래 그림과 같이 $l(t)$를 통한 loudness conditiong의 경우, 다른 variable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합성된 audio와 interpolated input이 거의 일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가능
    • 추가적으로 loudness와 pitch가 $(f(t), l(t))$에 의해 explicitly control 되는 경우, 모델은 residual $z(t)$를 활용하여 timbre를 encoding 함

Loudness, Pitch, Timbre에 대한 Interpolation

  • Extrapolation
    • $f(t)$는 additive synthesizer를 제어하고 dataset 외부에서 structural meaning을 가짐
      - 따라서 DDSP는 data point 간의 interpolation 외에도 unseen condition을 extrapolate 할 수 있음
    • 아래 그림에서 가장 오른쪽은 $f(t)$를 한 옥타브 shifting 하여 training data의 바깥으로 옮긴 경우에 대한 합성 결과를 보여줌
      - 결과적으로 audio는 extrapolation 상황에 대해서도 coherent를 유지하는 것을 보임

Extrapolation, Dereverberation 결과

- Dereverberation and Acoustic Transfer

  • Blind setting에서 reverb removing을 실험
    • DDSP는 modular approach를 제공하기 때문에 source audio를 room effect와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가능함
    • 위 그림의 왼쪽면에 나타난 것처럼 DDSP의 합성과정에서 reverb module을 bypass 하면, anechoic chamber에서 녹음하는 것과 비슷하게 완전한 dereverberated audio를 생성해냄

- Timbre Transfer

  • Singing voice를 violin으로 변환하는 timbre transfer 결과를 확인해 보면,
    • Violin dataset의 timbre와 room acoustic을 사용하여 노래의 여러 subtleties를 caputre 가능
    • 특히 노래에서 unvoiced syllable에 해당하는 silence에 대해 DDSP는 breathing artifact를 생성함

Timbre Transfer 결과

 

반응형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«   2025/01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Total
Today
Yesterday